태초에 마광수가 있었다. 무려 30년 전인 1992년, 연세대 국문과 교수는 자신의 소설 〈즐거운 사라〉가 음란물에 해당한다며 강의 도중 경찰에 체포됐다. '야한' 소설을 창작했다는 이유로 대학교수가 징역형을 선고받은 일대 사건이었다. 정치영역이 아닌 문화영역에서 표현의 자유가 큰 사회적 논란이 되었던 최초의 사례였다.<br /> <br /> <br /> 그로부터 30여 년이 지난 지금 우리 사회는 어디까지 왔을까. 안타깝게도 이 문제에서만큼 우리 사회는, 특히 우리 정치는 몇 발짝 내딛지 못했다. 2019년 문재인 정부가 도입한 SNI 방식의 ’https 차단‘은 여전히 국민의 자유를 억압하는 대표적인 사례다. 우리와 같은 방식으로 성인 사이트를 전면 차단하는 나라는 현재까지도 중국이 유일하다. <br /> <br /> 하물며 국민MC 신동엽씨는 일본의 성인문화를 소개하는 넷플릭스 시리즈를 촬영했다는 이유로 수년간 진행하던 방송에서 하차하라는 요구까지 받았다. JTBC 예능 ‘마녀사냥’ 등에서 수위를 유려하게 넘나드는 유머를 구사해 온 그도 최근 수년간 벌어지고 있는 문화전쟁의 유탄은 피해 갈 수 없었다. <br /> <br /> 비단 성인문화 만의 일일까. 전 세계적으로도 도처에서 문화를 둘러싼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소수자와 약자를 차별하는 표현을 지양하자’는 PC주의 문법과 ‘문화 콘텐츠상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지 말라’는 대중적 피로감이 맞부딪치는 양상이다. <br /> <br /> 가장 대표적으로는 올해 개봉한 미 디즈니 사의 영화 ‘인어공주’를 둘러싼 논란이다. 주인공인 인어공주 역으로 유색인종이 캐스팅되자 적잖은 대중적 반발이 일었다. 원작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낯섦을 호소하는 목소리였다. 그러나 그에 대한 디즈니의 대응은 “오 저런… 그건 당신의 문제”라는 마지막 문장의 조롱 섞인 입장문이었다. 다수의 주류 언론도 비슷한 방식으로 반응했다. 대중을 훈계한 대가는 2000억원대 손실의 흥행 참패였다. <br /> &nbs...<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3866?cloc=dailymotion</a>
